분류 전체보기 213

[어스캠퍼스] 기업분석 투자 바이블_19

19. 좋은 주식과 나쁜 주식 '성장과 환원의 균형이 필요' 인플레이션에 의해서 돈의 가치가 계속해서 떨어진다 = 성장이 필수 = 전년대비 몇%씩 성장했는가 (돈의 규모가 중요한 것이 아님) ex) 1년에 30%씩 성장 > 환원안해도 됨 5%씩 성장 > 환원이 필수 성장하는 동안은 매출액과 이익의 증가에 기업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는 것이 정상적 (가치주) (30% 이상: 매출 기준 or 이익 기준) (정말로 숫자가 찍히는 기업에 투자해야 한다.) (지금은 돈을 못벌지만 앞으로는 벌 거야 > 투자 금지!) 성장이 정체되기 시작하면 이익을 주주들에게 분배하는 것이 정상적 (배당주) (주식 투자 첫걸음에 좋음) 배당주 -> 성장주 순서대로 주식 투자 시작하기 NETFLIX 미국 -> 전세계로 넘어가는 포인트!..

공부/경제 2024.04.15

[어스캠퍼스] 기업분석 투자 바이블_18

18. 진입장벽의 중요성 (2) 시간을 통해 쌓은 신뢰 국내 조선업 - 장기적인 신뢰 구입 시 20~30년간 사용 유럽 -> 일본 -> 한국 삼성전자 -파운드리 기술에서 10nm 기술을 넘었으나, 엑시노스 품질 문제 신뢰 회복이 되지 않음 -> TSMC 선호 현상 생김 신뢰가 쌓인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은 장기적으로 차이가 생길 수 있다 기술적 한계 = 새로운 소재, 기술의 등장 = 혁신의 시기 > 투자 포인트 애플의 비전프로 마이크로소프트의 Chat GPT AI가 정말로 혁신을 이끌것인가? 좋은 기술을 보유한 기업은 항상 좋은 주식일까? 좋은 기업이 항상 좋은 주식일까? >> 남들이 따라할 수 없는 어떠한 something을 가지고 있는 기업을 찾아야 함 >> 높은 영업이익률, 기술적 혜자, 기술의 ..

공부/경제 2024.04.12

[어스캠퍼스] 기업분석 투자 바이블_17

17. 진입장벽의 중요성 지속가능성 기술적해자 -다른 기업들이 쉽게 침범할 수 없는 것 돈으로 기술이 해결될 수 있는가? 과거 한국이 1위를 했던 품목 : 섬유 -> 중공업 -> 첨단산업 (여전히 제조업) : 일본 -> 한국 -> 중국 -> 동남아시아 / 인도 순 >> 기술의 벽이 낮은 경우 저가공세에 공격받을 개연성이 높음 (인건비가 낮은 곳으로! / 보조금을 제공하는 곳으로!) >> 국내에서 어떤 산업이 흥하고 망하는지 사이클을 체크하자 기술수준과 기술격차로 수치화 가능 -미국 100 기준 각 국가 비교 -기술격차가 현저한 차이를 보여야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간주 한국의 경쟁력: 메모리반도체, 조선, 방위산업 등 IF 산업에 국가별 격차가 없다 -> 브랜드가 중요해짐 진입장벽은 장기투자의 성패를 좌지..

공부/경제 2024.04.11

[어스캠퍼스] 기업분석 투자 바이블_16

16. 소프트파워와 제조업 애플 -매년 30% 수준의 영업이익률 유지 -제조업이 아닌 서비스업 -아이폰 / 반도체 설계 -제품은 외주생산 -비용통제에 유리한 구조 >> 우상향 그래프 key point 아이폰 판매량 (아이폰 매출 비중 50% 이상) + 현금흐름을 통한 '자사주 소각' '아이폰이 유지가 되는가?' '추가될 수 있는 모멘텀이 존재하는가? ex 맥, 아이패드, 비전프로 등' 폭스콘 -아이폰 제조사 -애플과 비교했을 때 초라한 성장 -애플의 비용통제에 의해 '횡보' >> 가격결정권이 없음 >> 현금흐름은 좋지만 '을'의 위치이므로 장기투자에 부적합 -새로운 거래처를 뚫는 것에 실패하면, 가격결정권을 잃어버리게 됨 제조사라 하더라도 고객이 많을 경우에는 주가가 상승할 여력이 있다 ex TSMC 0..

공부/경제 2024.04.09

[어스캠퍼스] 기업분석 투자 바이블_15

15. 1등 기업에 투자하라 어떤 종목에 투자하면 편한가? > 1등 기업! 아무리 장이 힘들어도 수요가 존재하는 1등 기업이 투자하기 편하다 1등 기업 공부 > 앞으로 1등이 될 수 있는 기업 찾을 수 있음 '어디가 1등인가, 1등 중에서도 누가 더 경쟁력이 있는가' EPS↑ 현금흐름이 좋다 = 주주환원↑ 현재 1등은 'AAPL' (2023기준) 과거 1등은 '액손모빌' (2000~2006기준) > 글로벌 원유 가격 하락 + 리먼사태 + 셰일가스 등장으로 인해 시총1위 자리 내어줌 정체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망하지는 않지만 하락 / 횡보하는 모습을 보임 1등과 1등에 연계된 기업을 공부하자 '앞으로의 주도 시장은 무엇일까?' > AI (NVIDIA) > 엔비디아가 향후 10년간 성장할 수 있을까? > 엔비..

공부/경제 2024.04.08

[어스캠퍼스] 기업분석 투자 바이블_14

14. 주가의 KEY-Factor 제조업은 '재고'에 민감하게 반응 한국 반도체 = 메모리 반도체 자동차 = 전기차 판매량 (재고 증감) - 출고대기시간, 할인판매 철강 = 중국 내수 철강 가격 저가매수 타이밍의 핵심: 기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Factor의 재고 Factor 반도체: 재고 자동차: 금리 철강: 중국, 인도 삼성전자의 메모리 매출은 23%에 불과하다 하지만 영업이익률의 등락에는 크게 관여한다 메모리가 가장 큰 변동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매출의 70% 해당하는 가전은 꾸준한 수요가 있음) 영업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 판관비 = 순수하게 장사하고 남은 돈 제조업 기준 영업이익률 15% 이상 우수 10% 전후 일반 5% 이하 지속가능성 낮음 일반적으로, 기술력 = 영업이익률 ..

공부/경제 2024.04.05

[어스캠퍼스] 기업분석 투자 바이블_13

13. 적정주가 계산하기 2 원자재 + 인건비 + 마진 = 판매가격 판매가격 - 재투자비용 - 세금 = 순이익 >> 마진 = 수요와 공급의 균형가격 미국 빅테크 경우 원자재 X + 인건비↑ + 마진 = 판매가격 판매가격 - 재투자비용(R&D)↑ - 세금 = 순이익 주가 = 실적의 함수 실적 = 마진의 크기 마진 = 수요와 공급의 법칙 주가 = 수요에 따라 움직임 >> 이 모든 것이 녹아있는 것: 영업이익률 바닥은 PBR 0.9배로 계산한다 고점, 저점 사이클 계산 필요! > 보고서 참고 보고서 앞으로의 실적 추정치를 확인 영업이익률 확인 (%)로 계산 영업이익률의 변동을 확인 (저번 보고서에서는 영업이익률 13%였는데 이번 보고서에서는 14% > 목표 주가 상승) >> 목표주가를 이용하기, 나만의 목표 ..

공부/경제 2024.04.04

[어스캠퍼스] 기업분석 투자 바이블_12

12. 적정주가 계산하기 재무제표 이해하기 기업의 매출 = 사람의 연봉 기업의 이익 = 사람의 남은 돈 기업의 부채비율 = 사람의 빚 기업의 당좌비율 = 사람의 빚 변제 능력 (당좌비율이 낮은 기업은 위험) 기업의 유보율 = 사람의 가처분자산 (당장 1년 내에 만들 수 있는 자산, 유동성) (유보율이 음수이면 자본잠식, 상장폐지 사유 or 유상증자 해야함) 연봉 5억에 저축을 하지 않는 사람 va 연봉 1억에 매년 5000만원씩 저축하는 사람 >> 후자 연봉 5억에 원룸에 사는 사람 vs 연봉 1억에 10억대 APT 보유자 >> '자본'이 있는 후자 회사 (재무제표) 분석 시 사람과 동일하다고 생각! 돈을 잘 벌고 있는가 / 빚이 없는가 / 저축 (성장 투자)를 하는가 / 주주환원을 하는가 기업의 재무제..

공부/경제 2024.04.03

[어스캠퍼스] 기업분석 투자 바이블_11

11. 기업보다 섹터 나무를 보기 전에 숲부터 봐야 한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혹은 '가전제품' 기업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전기전자업종', '반도체와반도체장비' 업종에 포함되어 있음 미국의 경우 섹터별 등락율을 구분하고 ETF를 통해 투자하는 경우도 많음 글로벌 시장의 경우 섹터별로 롱/숏 포지션을 자주 취함 > 섹터별 앞으로의 전망을 잘 확인해야 함 국내의 경우에도 글로벌 시장과 마찬가지로 섹터별 움직임이 동일한 경우가 많음 ex. 중국관광객 유입으로 유통주가 상승 but 지속성 여부와는 별개 + 주주환원 입장에서도 다른 시각 필요 > 실적이 수반되는 뉴스를 찾아야 함 주주환원이 약한 기업이 많기 때문에 국내 투자는 장기 투자가 어렵다 -동일 섹터의 기업들은 동일한 방향성을 갖는다 -산업의 흐름..

공부/경제 2024.04.02

[어스캠퍼스] 기업분석 투자 바이블_10

10. 다시 왜 주식인가? 주식 -예금보다 높은 수익성 -돈에 일을 시키면서 자산투자 -높은 환금성 -비교적 짧은 시간에 수익을 반복 실현할 수 있다 -세금 부담이 비교적 적다 -안정성이 다소 부족하지만, 이 부분은 공부를 하며 극복 -환금성이 높다 >> '안정성'만 갖추면 주식 투자 성공! 개인의 성장 속도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전략 성장 = 1/환원 에 비례 기준금리 어떤 기업을 얼마나 오래, 많이 투자할 것인가? > 매일 기업 분석 / 뉴스 / 산업 분석 > 어떤 기업을 공부할 것인가? > 어떤 기업이 돈이 될..

공부/경제 2024.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