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분석]/기사와 이론

[기사] 블록체인과 UX Research

dowon 2024. 3. 18. 16:01

데이터 관련해서 공부를 하며

관련 기사와 이론 내용을 정리하면 도움이 될 것 같아 작성하기로 결심했다

 

별다른 내용은 없지만,

인터넷 상에 흩뿌려져 있는 자료들을 한 곳에 모아두는 것만으로도 큰 공부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블록체인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 주최 및 주관으로 개최된 '블록체인 밋업' 컨퍼런스에서 블록체인 표준 프레임 워크 'K-BTF' 개발을 발표하며, 향후 금융위원회 등 관계 부서의 협의를 통해 한국형 블록체인 표준 개발을 발표했다.

 

블록체인 공급기업을 339개에서 500개로 늘리고, 기술 수준을 85.6%에서 93%까지 성장시키겠다는 목표에 따라 8대 추진과제를 발표했다.

(국민체감형 프로젝트 발굴, NFT규제혁신, 블록체인 법 제도 정비 포함)

 

UX Research

UX Research란 사용자의 특성을 조사하고, 제품/서비스 개선에 반영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연구로 제품 사용 중에 부정적인 사용 경험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실제 사용자 관점에서 해결 방안이 효과적인지 검증하는 것을 말한다.

 

UX Research 4단계

1. 데스크 리서치

인터넷 검색, 내부 문서 등을 통해 기본적인 정보를 수집하고, 실제 현장을 방문하여 관찰하거나 사용자가 되어 관련된 시스템을 직접 사용. 이를 통해 해당 분야의 전문 용어, 시장 동향 파악은 물론 현재 시스템의 feature, flow 등을 분석하고 궁금한 점, 문제점을 정리하여 리서치 준비에 필요한 기초를 마련

 

2. 리서치 준비

데스크 리서치 결과를 기반으로 리서치 목적, 리서치 방법, 참여자 선정 방법 등을 결정. 리서치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토콜 및 질문지를 작성하고, 리서치 과정에 필요한 와이어프레임, 프로토타입, 이미지 자료, 리서치 장비 등을 준비. 적절한 리서치 참여자 대상을 선정하여 일정을 조율하고, 필요한 경우 리서치 환경을 조성함

 

3. 리서치 진행

준비한 리서치 프로토콜에 따라 관찰, 사용자 인터뷰, 설문조사 등을 실시. 리서치 진행자는 참여자의 솔직한 의견과 생각을 듣기 위해 라포를 형성하고, 준비되 질문 이외에도 상황에 따라 필요한 질문을 추가하는 등 적극적으로 리서치를 진행해 나감. 또한, 리서치 과정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정확하게 기록하고 관리하기 위해 참여자의 동의 하에 녹음, 녹화를 진행하고, 기록자가 사용자의 모든 응답과 행동 특성을 자세히 기록함. 또한, 현업 관계자들도 제3의 관찰자로 리서치에 참여하기도 함.

 

4. 리서치 결과 분석 및 전달

문제점, 개선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향 도출 > 서비스 사용행태 파악 및 참가자 설문 신뢰성 검증 > 리서치 결과보고서 현업에 전달 > 결과가 반영되도록 피드백 제공

리서치가 끝나며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향을 제안

 

 

결국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데이터 분석의 핵심이라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