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변동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1)
환율은 내외금리차, 국내물가, 생산성 등 국민경제 여건에 따라 변동하지만, 역으로 환율변동이 국민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면 달러로 표시한 수출상품의 가격이 올라 경쟁국 제품에 비해 가격이 비싸지게 되므로 외국으로부터의 수출 주문량이 줄어들게 된다.
→ 수출이 줄면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실업자가 늘어나는 등 고용사정도 어려워진다
→ 환율이 내려가면 외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원재료나 중간재의 가격이 떨어져 상품의 생산 비용을 감소시킴으로써 국내 물가의 안정 요인으로 작용한다.
→ 환율 하락 시 국외에서 자금을 차입한 국내기업의 원리금 상환부담이 줄어드는 긍정적인 측면도 존재함
환율이 상승하면 달러로 표시한 국내상품가격이 하락함으로써 수출이 늘어나고 수입은 줄어들어 경상수지의 개선을 기대
→ 수출 증가로 경제성장이 촉진되면서 일자리도 더 많이 생겨날 것
→ 원자재 및 부품의 해외의존도가 높은 나라의 경우 원자재 및 부품을 높은 가격을 주고서라도 수입할 수 밖에 없어 수입의 감소가 제한적일 가능성 존재
→ 환율 상승으로 수입원자재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국내물가가 올라가게 되며 외화부채가 있는 기업들의 원리금 상환부담이 가중되는 부작용도 발생
환율변동은 경제 여러 분야에 이해가 상반되는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환율은 가능한 한 기초경제여건을 반영하여 안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
환율변동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어떤 개방경제가 세계 다른 나라 경제와 상호작용하는 경로에는 1)재화와 서비스 시장과 2)금융시장, 이렇게 두 가지가 있음
순수출과 순자본유출은 각각 이들 두 시장에서 발생하는 일종의 불일치 현상을 나타냄
순수출: 한 나라의 수출과 수입의 불일치
순자본유출: 내국인이 취득한 해외 자산과 외국인이 취득한 국내 자산의 불일치
NCO(순자본유출) = NX(순수출)
이 방정식은 항등식이다.
eg) 당신은 미국에 거주하는 컴퓨터 프로그래머인데, 어느 날 여러분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일본의 소비자에게 1만엔을 받고 팔았다 가정.
→ 이 거래는 미국의 수출이므로 미국의 순수출이 증가하게 됨
what 국제수지에 관한 항등식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다른 어떤 거래가 일어나야 할까?
>> 내가 받은 1만엔을 어떻게 사용하는가에 달려 있다.
case1. 받은 엔화를 침대 밑에 보관
소득의 일부를 일본 경제에 투자하는 셈
+ 순자본유출 (NCO) = 내국인의 해외 자산 구입액 - 외국인의 국내 자산 구입액
즉 미국 입장에서 내국인이 일본 엔화라는 외국 자산을 취득한 것
따라서 미국의 순수출 증가에 상응하여 미국의 순자본유출이 증가하게 됨 NCO + = NX +
case2 받은 만 엔으로 일본 기업의 주식이나 일본 국채를 구입
이 역시 내국인이 외국 자산을 취득한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음
따라서 미국의 일본 기업 주식이나 일본 국채 구입을 통한 순자본유출이 미국의 컴퓨터 소프트웨어 수출로 인한 순수출과 정확하게 일치함
case3 받은 만 엔으로 닌텐도와 같은 일본 상품 구매
닌텐도 구입으로 미국의 수입은 증가.
따라서 미국이 일본에 소프트웨어를 수출하고 일본에서 같은 금액의 닌텐도를 수입하면 무역수지는 균형을 이루게 됨
이 경우 수출과 수입이 동일한 금액만큼 증가하기 때문에 순수출에는 변화가 없음 (NX 일정)
이와 같이 미국인에 의한 일본 자산의 취득도 없고, 외국인에 의한 미국 자산의 취득도 일어나지 않았다.
따라서 순자본유입에는 아무 영향이 없다. (NCO 일정)
case4 받은 만 엔을 달러로 변환
이 역시 은행이 취득한 만 엔을 어떻게든 운용해야 하기 때문에 상황은 마찬가지다.
은행도 나와 마찬가지로 일본 자산을 구입 (미국의 순자본유출) 하거나 일본 상품을 구매 할 수 있다. (미국의 수입)
아니면 일본의 자산이나 상품을 구입하려는 다른 미국인에게 엔화를 팔 수 있다.
eg) 월마트가 중국에서 5,000만 달러어치 의류 제품을 구입하여 미국 소비자들에게 판매
case1 중국이 의류 제품을 수출하고 받은 5,000만 달러를 미국에 투자
중국에서 미국으로 유입되는 자본은 중국이 미국 국채를 구입하는 형태가 될 수 있음
이 경우 의류 수입으로 미국의 순수출은 감소하고 미국 국채 매각으로 미국의 순자본유출은 감소
case2 중국은 5,000만 달러로 미국 항공기 제조업체인 보잉사에게서 제트기를 구입
이 경우 의류 수입으로 인한 미국의 순수출 감소가 항곡기 수출에 의한 순수출 증가로 상쇄되어 순수출과 순자본유출 둘 다 불변 (NCO, NX 불변)
어떤 경우든지 외국과 거래는 순수출과 순자본유출에 동일한 영향을 미침
결론1
한 나라가 무역수지 흑자 (NX>0)가 되면 외국인에게서는 구입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금액보다 내국인이 외국인에게 파는 재화와 서비스 금액이 더 크다
→ 재화와 서비스의 순수출을 통해 취득하는 외화로 외국 자산을 구입하는데 사용
따라서 이 나라에서 자본이 유출됨 (NCO>0)
결론2
한 나라가 무역수지 적자 (NX<0)가 되면 내국인이 외국인에게서 구입하는 재화와 서비스 금액보다 내국인이 외국인들에게 파는 재화와 서비스 금액이 더 적다
→ 재화와 서비스의 순수입에 필요한 외화를 외국에서 자산을 매각함으로써 외화를 조달함
따라서 이 나라로 자본이 유입됨 (NCO<0)
'공부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의 기초 (6) (3) | 2024.11.18 |
---|---|
환율의 기초 (5) (5) | 2024.11.14 |
환율의 기초 (4) (1) | 2024.11.12 |
환율의 기초 (3) (3) | 2024.11.11 |
환율의 기초 (2) (2) | 2024.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