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경제

[어스캠퍼스] 최종 정리

dowon 2024. 5. 29. 09:43

주식 투자에 있어 중요한 것

1. 정확한 분석

2. 비교 금지

3. 잃지 않기

 

기준 금리 대비 어느 정도 투자 수익률을 목표로 해야 하는가

 

실적 + 자사주소각 + 배당

 

석유화학 / 전기전자 / 게임 / 은행 / 기타 / 유통

 

PER ↓ EPS ↑ ROE

 

영업이익률과 주주환원을 가장 중심적으로 보기

EPS ↑ = 현금흐름이 좋다 = 주주환원 ↑

 

국내에서 어떤 산업이 흥하고 망하는지 사이클을 체크하자

미국 (글로벌) 기준과 비교

한국 경쟁력: 메모리반도체, 조선, 방위산업

 

높은 영업이익률, 기술적 혜자, 기술의 진입장벽

 

성장과 환원의 균형이 필요

성장: 매출액과 이익의 증가

정체: 이익을 주주들에게 분배

 

물적분할: 한 단계 거쳐서 분할 → 상위기업의 자본, 경영권 유지 위한 것

인적분할: 개별 독립적으로 분할 → 소액주주에게 피해 없음

 

지주회사는 '배당률'을 복 투자해야 함 + 현재 금리 고려

배당이 은행 이자보다 높은가? 적금보다 좋은가?

 

investing.com에서 IR 확인하기

 

채권시장은 금리 방향성 베팅에 중요

FED-WATCH

국가별 채권 investing.com > 시장 > 채권 > 세계 국채

단기 > 장기 (장단기 금리차 역전): 경기 침체

 

안정성: 실적, 영업이익률, 주주환원정책 → 배당률 + 자사주소각

수익성: 시장성장, 점유율성장, 기술성장 → EPS(희석) + SALES

 

낮은 금리: PER↑

높음 금리: PER↓

 

영업이익률이 최고점에서 꺾이기 시작할 때 사이클 관점으로 타이밍 계산

 

매수는 기술이고 매도는 예술이다

 

장이 좋을 때 현금비중↑

장이 안 좋을 때 주식비중↑

경기 방어주: 식음료, 통신, 은행

경기 민감주: 반도체, 자동차, 원자재, 건설

 

과연 내가 바라본 AI 전망이 확실한가 → 시황과 재무 분석 실시

 

1. 매수할 때에는 매도 가격을 먼저 계산하라

2. 주식은 확률과 싸우는 것이다

3. 확실한 것이 안보이면 쉬어도 좋다

4. 원칙은 지키라고 만드는 것이다 (1번) → 원칙을 추후 수정

5. 항상 글로벌 스탠다드를 기준으로 삼자

6. 내 생각은 언제든 틀릴 수 있다

7. 남 탓하면 발전하지 못한다

8. 심장이 두근거릴 땐 호가창을 닫아라

9. 시장을 이기는 종목은 없다

10. 큰 수익 / 손실 뒤에는 반드시 투자를 멈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