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자격증

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 최종 합격 후기

dowon 2024. 7. 16. 14:36

제 8회 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에 최종 합격하게 되어
빅데이터분석기사 자격증 취득에 성공하게 되었다
 
그동안 바쁘다는 핑계로 공부도 소홀히 하였고
시험을 접수하고 보지 않았던 적도 많아 
필기를 취득한 후 2년이 지나서야 합격할 수 있었다
 
사실 이번에 합격한 것도 운이 많이 따랐다고 할 수 있다
우선, 필기 만료 직전 마지막 실기 시험이라는 점과
회사가 너무 별로라 기사 자격증 취득하고 이직해야겠다는 마음
그리고 시험을 어떻게든 풀어야겠다는 생각
 
이 모든 것들이 어울러져
60점 커트라인 중에 60점으로 가까스로 합격할 수 있었다
 
Thanks God!
 
공부기간
약 1달
그러나 수술 및 입원 등의 이유로 실제 공부 기간은 1~2주 정도 소요됐다
 
공부방법
실기는 책을 살 필요가 전혀 없다
1. 데이터 마님 사이트 https://datamanim.com/
2. 케글 사이트 https://www.kaggle.com/datasets/agileteam/bigdatacertificationkr

Big Data Certification KR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Python, R tutorial code)

www.kaggle.com

이 두 사이트만 있다면 나처럼 급하게 공부해도 합격할 수 있다
 
데이터 마님 사이트에서는 주로 제 1유형을 연습했다
데이터마님 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 python '데이터 전처리 100문제' 5회독
→ '작업 1유형 연습문제' 5회독
→ '작업 3유형 연습문제' 5회독
맨 처음에는 모든 코드를 따라 작성했고, 두번째 차례부터는 문제만 보고 코드를 작성 후 정답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공부했다
데이터마님에 나오는 문제들이 한국어로 써있기는 하지만 이게 한국어인가?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문맥의 어순이 이상하게 써있지만, 실제 시험장에서 문제가 그렇게 나오기 때문에 데이터 마님으로 연습하는 것이 좋아보인다
 
케글 사이트에서는 제 2유형과 제 3유형을 연습했다
케글 사이트의 view more를 클릭하면 여러가지 연습 문제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곳의 제 2유형 연습문제 퀄리티가 상당히 좋다
제 3유형의 경우 아직 3유형이 도입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솔직히 데이터 마님이나 케글 사이트 모두 그닥 도움이 되진 않았다
(그냥 내가 공부를 못해서 그런거같기도 하다 하지만 나는 이번에 시험볼 때 입원하고 수술하고 난리친걸 감안해주길 바란다)
 
제 2유형 팁
제 2유형의 경우 케글사이트의 정답 코드를 참고하지 않았다
내가 여러 인터넷 사이트를 참고하여 작성한 만능 코드를 사용했다
무조건 randomforest를 사용하고
시험장에서 주어진 데이터를 다시 test 데이터와 train 데이터로 나누어 연습을 추가로 실시하는 과정을 거쳤다
관련된 내용은 첨부파일에 올려두었다
 
시험후기
퇴원한지 1주일도 지나지 않아 시험을 보러 갔다
수술한 부위가 너무나도 아팠고 비까지 내렸기 때문에 컨디션이 좋은 상태에서 봤다고 하긴 어렵다
특히 시험 끝나고 집으로 돌아가는 택시 안에서 아파서 디지는줄 알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합격이 되어 너무나도 감사할 뿐이다
 
시험 난이도는 대체적으로 무난했다
딱 연습한 그 난이도 그대로 나왔다
 
제 1유형의 경우 데이터마님의 연습문제와 비슷한 난이도로 출제되었으며
데이터마님을 통해 연습을 충분히 했다면 합격에 충분한 점수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제 2유형의 경우 케글의 연습문제와 반대로 train test 데이터세트가 구분되어 있지 않았다
이 부분을 본인 스스로 구분하는 과정이 필요했는데
이에 대한 코드 연습이 부족하다면 아예 시작조차 하지 못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제 3유형의 경우 나도 0점이라 딱히 할 말은 없다
3유형은 대체 뭘 공부해야할지 감도 오지 않은 상태였다
제 3유형은 유튜브나 사설 강의에 나와 있는 내용들을 가지고 공부하면 될 것 같다
 
통계학을 전공해서 드디어 전공과 관련된 자격증을 취득했다
뿌듯하면서도, 허무하면서도, 데이터분석에 관해 더 공부하고 싶은 마음이 커졌다

빅분기 실기 요약 노트.pdf
0.09MB